위산은 왜 역류할까요? 위산 역류의 원인으로는 위와 식도 사이에 있는 괄약근 즉, 식도 조임근이 제 역할을 하지 못해서 위산이 역류해 가슴이 타는 듯한 증상, 명치 통증, 가슴 화끈거림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는데요. 위산역류로 인한 질환으로는 식도염, 식도궤양, 협착 등이 있어요. 위산역류를 막는 방법에는 식이요법이나 생활습관 개선 등 여러가지 방법이 있는데요. 오늘은 위산역류의 원인과 증상, 개선방법 등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위산은 왜 역류할까요?
우리의 위와 식도가 연결되는 부위에는 괄약근이 있어서 위산을 막아주는데, 이 괄약근이 제 기능을 하지 못해서 위산이 식도를 통해 거꾸로 올라오는 경우를 위산역류라고 합니다
이 괄약근은 식도조임근이라고도 부르는데 음식을 삼키거나 트림을 할 때만 열려야 하지만, 식도조임근이 약해지게 되면서 위액이 식도로 올라가면서 식도 점막을 자극하여 가슴이 타는 듯한 통증이나 명치끝이 쓰린 증상 등이 나타납니다
가슴타는 듯한 증상
위산이 역류하게 되면 가슴 부위에 타는 듯한 통증을 느끼고 작열감을 느끼게 됩니다. 가슴 쓰림, 명치끝 쓰림, 명치부터 목이 타는 듯한 증상 등을 느끼게 됩니다
위산 역류 증상은 몸을 앞으로 구부리거나 누워있을 때, 증상이 심해질 수 있습니다.
증상이 있을 때는 똑바로 눕지 않고 머리 쪽을 높게 하여 기대어 눕거나 물을 마거나 제산제를 복용하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위산 역류의 원인
- 스트레스를 많은 받는 경우
- 과식이나 불규칙한 식사를 하는 경우
- 인스턴트나 자극적인 음식을 자주 섭취하는 경우
- 잦은 음주나 과도한 업무량으로 피로가 쌓인 경우
위산 역류 막는 방법
과식하지 않기
- 과식을 하게 되면 위산이 많이 나오게 되기 때문에 과식은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기름진 음식, 커피, 술 줄이기
- 기름진 음식이나 커피, 술은 식도 조임근의 기능을 약하게 하기 때문에 되도록이면 먹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식사 후 바로 눕지 않기
- 위산역류는 보통 식사 후에 발생합니다. 식사와 수면 사이에 충분한 간격 두는 것이 좋습니다. 만약 누워있을 때 역류가 걱정된다면, 위는 식도보다 왼쪽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왼쪽으로 누워서 자는 것이 역류 증상을 줄일 수 있습니다. 취짐 전 휴식을 취할 경우 베개를 높게 하고 기대어 눕는 것도 증상을 호전시킬 수 있습니다.
규칙적인 식사하기
- 규칙적인 식사는 불필요한 위산 분비를 줄이는데 도움이 됩니다.
위산 역류 약 복용하기
-위산역류가 심한 경우 위산분비를 억제하는 약이나 제산제 등으로 위액의 분비를 줄일 수 있습니다. 일반의약품의 경우 약국에서 구매가 가능하며, 단기 복용 후 증상이 개선되지 않을 경우 전문의에게 진찰받는 것이 좋습니다.
✅ 위산역류질환 진단 방법
✔️위산 역류질환의 특징적인 증상으로 진단하는 방법 : 가슴 쓰림과 위산 역류 증상, 환자의 상태를 파악하여 진단하는 방법이에요.
✔️식도 손상도를 확인하는 내시경 검사 : 내시경 검사는 위산 역류에 의해 식도의 손상 정도를 확인하는 방법인데요. 역류성 식도염이 반복되면 식도 구멍이 좁아지며 식도협착이 생길 수 있어요. 식도협착이 생기면 음식물을 삼키기 힘들어지는데, 장기간 위산 역류가 계속될 경우 식도선암으로 발전할 수 있다고 하니 평소에 위산 역류로 인한 증상이 있다면 검진을 미루지 마시고 정기적인 검사를 하는 것이 좋아요
✅치료방법
생활습관 교정, 약물치료, 수술
생활습관 개선으로도 증상이 호전되지 않는 경우 , 약물치료와 수술을 권하기도 하는데요.
✔️약물치료
증상이 경미한 위식도 역류질환 환자 대부분은 약물치료에 의해 증상이 호전되며 식도염으로 진행하지 않는다고 해요. 위산 분비를 억제하는 제산제, 히스타민 수용체 길항제 등을 증상에 따라 처방한다고 해요.
✔️수술
대부분의 환자는 약물치료를 먼저 시도하게 되며 난치성 위식도 역류질환의 경우는 수술을 권하기도 해요. 심한 경우 복강경을 이용한 수술을 권할 수 있지만 수술보다는 약물로 인한 치료가 안전하기 때문에 수술은 최후의 방법으로 생각하셔야 해요. 위식도 역류질환의 경우 증상 발생 시 초기 치료가 가장 중요해요.
위산 역류에는 생활습관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데요. 생활 습관을 개선하는 것만으로는 식도염이 완치되지 않아요. 경미한 증상의 경우에는 도움이 되지만, 장기간 위산역류 증상이 있거나 증상이 심한 경우 약물치료를 병행하는 것이 좋아요.
50대 이상 남성에게서 흔히 발생할 수 있는 바렛식도는 식도 아래쪽에 세포가 비정상적으로 변하는 질환인데요. 이 바렛식도 질환이 있다면 식도선암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정기적인 내시경 검사가 필요해요. 위산 역류로 인해 고생하고 계시다면 건강한 식습관과 정기적인 검진으로 조기에 치료하시길 바랄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