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를 키우면서 반드시 챙겨야 하는 지원금이 있는데요.
나라에서 받을 수 있는 2023년 출산 혜택을 꼼꼼히 확인하시고 지원받으시길 바라요. 먼저 2023년 출산 혜택으로 챙겨야 할 혜택은 첫 만남 이용권, 부모 급여, 영아 수당(양육수당), 아동수당 등인데요. 2023년 새롭게 바뀌는 혜택부터 반드시 신청해야 하는 혜택들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첫만남이용권 200만 원
첫만남이용권은 아이가 태어나면 받을 수 있는 바우처인데요. 2022년에 태어난 아기부터 지급되고 있는 바우처예요. 가족의 소득 수준과 관계없이 지급되고 있으며 1년 이내에 사용이 가능하고 이후에는 소멸된다고 해요. 신청방법은 주민센터를 직접 방문해서 신청하시거나 온라인으로 신청할 수 있어요. 신청 후 30일 이내로 지급이 결정되며 신용카드, 체크카드의 포인트 형태로 지급되고 있어요.
- 출생아 1명 200만 원
- 쌍둥이 400만 원
- 세 쌍둥이 600만 원
지원대상 : 출생신고가 완료되어 주민등록번호를 갖고 있는 영아
사용기간 : 1년 이내 사용 가능해요
사 용 처 : 아기와 관련 없는 유흥업소, 레저업종, 사행업종 등 제외한 전 업종에서 사용 가능해요
신청방법 : 거주하는 주소지의 읍. 면. 동 행정복지센터 방문 신청, 온라인 신청(복지로, 정부 24)
2023 영아 수당에서 바뀌는 '부모 급여'
정부는 영아기 양육자의 경제적 부담을 덜기 위해 부모 급여를 지급할 계획인데요. 어린이집 등 보육시설을 이용하는 여부에 따라 양육비를 지원한다고 해요. 2023년부터 지급되는 부모 급여의 금액은 다음과 같아요.
나이 | 지급 조건/금액 | |
만 0세 | 무조건 70만원 | |
만 1세 | 가정양육하면 35만원 |
어린이집, 유치원 등 시설이용하면 50만원 |
2024년 예정 '만 0세는 월 100만원, 만 1세는 월 50만원의 부모급여가 지급예정 |
만 0세 자녀가 있는 경우 가정양육 여부에 상관없이 무조건 월 70만 원을 받을 수 있어요. 만 1세부터는 금액에 차이가 있는데요. 아이를 가정에서 양육할 경우 월 35만 원,시설 이용 시(어린이집, 유치원 등) 월 50만 원을 지급받을 수 있어요.
2023년 아동수당 10만 원
[기존 만 7세 → 만 8세까지 지급 ]
아동수당은 만 8세 아동이 있는 가정이라면 매달 10만 원씩 지급되는 수당이에요. 기존에 만 7세였던 아동수당을 만 8세까지 지급받으실 수 있어요. 자녀가 초등학교 2학년에 다니며 아직 생일이 지나지 않았다면 매월 10만 원씩 지원받으실 수 있어요
- 지원대상 : 만 8세 미만 (0~95개월) 아동
- 지원내용 : 아동 1인당 매월 10만 원
- 신청방법 : 방문신청(주소지 읍면동 행복복지센터), 온라인 신청(복지로 PC 또는 앱)
- 신청서류 : 신분증, 통장사본, 추가 서류(해외 출생아, 복수국적자인 경우 해외 여권 등 제출)
- 문의처 : 읍면동 행정복지센터 및 아동 복육과
2023년 임신 출산 바우처 100만 원
국민행복카드 임신 출산 바우처는 100만 원이 지원되고 있는데요. 쌍둥이나 세쌍둥이와 같은 다태아의 경우에는 140만 원까지 지원 받으실 수 있어요. 임신출산 바우처의 사용처로는 산부인과 진료비, 소아과, 약국 등 임신과 출산 관련된 병원과 약국에서 사용이 가능해요.
- 사용기간 2년
- 단태아 100만원
- 다태아 140만원
출산장려금 지원
출산 장려금은 현재 살고 계시는 지역 지자체에서 주는 출산 선물인데요. 보통은 거주하시는 지역의 지역 모바일 상품권으로 지급받으실 수 있어요. 출산장려금이 가장 높은 지역은 양평군으로 만약 양평에 거주하신다면 첫째 출산 시 300만 원, 둘째 500만 원, 셋째 1천만 원, 넷째 이상 2천만 원의 출산장려금을 지급받으실 수 있어요. 2023년에는 첫째 출산을 300만 원에서 500만 원까지 상향 추진 중이라고 하니 전국에서 가장 출산 장려금이 높은 지역으로 알려져 있어요.
- 지원대상 : 주민등록상 출생 신고한 영아를 부양하는 가정으로서 영아 출생일을 기준으로 6개월 전부터 신청일 현재까지 계속하여 관내에 주민등록을 두고 거주하며, 출산장려금 지원일 현재 거주하고 있는 가정
- 지급금액 : 지급 급액은 지자체 별로 다른데요. [ 하남시 기준 ] 첫째 50만 원, 둘째 100만 원, 셋째 200만 원, 넷째 1000만 원 , 다섯째, 2000만 원이 지급된다고 해요.
- 신청방법 : 신분증, 통장사본 등 지참하여 주소지 읍면동 행정복지센터 신청, 인터넷 신청(복지로, 정부 24시)
출산장려금 신청 가능 지역 안내 [임 식육 아종 합포 털 아이사랑에서 지역별 조회할 수 있어요]
서울 부산 인천 대구 대전 광주 수원 울산 고양 용인 창원 성남 청주 부천 화성 남양주 전주 천안 안산 안양 김해 평택 포항 제주 시흥 차주 의정부 김포 구미 광주 양산 원주 진주 세종 광명 아산 익산 춘천 경산 군포 군산 하남 여수 순천 경주 거제 목포 오산 이천 강릉 양주 충주 안성 구리 서산 서귀포 당진 안동 포천 의왕 광양 김천 제천 통영 논산 칠곡 사천 여주 공주 양평 정읍 영주 나주 음성 밀양 홍성 보령 완주 상주 영천 동두천 동해 김제 무안 남원 진천 예산 속초 문경 함안 삼척 홍천 해남 부여 창녕 태안 고흥 화순 거창 가평 영암 금산 고창 과천 서천 고성 부안 의성 옥천 영광 영동 울진 완도 예천 철원 태백 연천 담양 합천 하동 횡성 남해 계룡 장성 청도 성주 평창 보성 괴산 함양 증평 영월 장흥 영덕 정선 신안 산청 강진 고령 보은 청양 봉화 함평 인제 진도 곡성 단양 순창 임실 의령 양양 화천 청송 구례 무주 진안 양구 군위 장수 영양 울릉
전기세 감면 혜택
출산일로부터 3년간 출산가구의 전기요금을 매달 30% 할인(월 최대 16000원 감면) 받으실 수 있어요. 가정에서 전기의 사용량이 급증하는 여름철(7월, 8월)에는 최대 28000원까지 지원받으실 수 있으니 참고하시면 좋을 거 같아요
3년 동안 전기요금 매달 30% 할인(월 최대 16,000원 감면)
출산과 양육에 대한 혜택은 매년 조금씩 바뀌고 있는데요. 제가 포스팅한 혜택 외에도 임신했을 때 받을 수 있는 영양제, 출산 후 받을 수 있는 기저귀 바우처 등 다양한 혜택이 있으니 꼼꼼히 체크해보시고 아이를 출산하시고 양육하시는데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어요. 새 생명의 탄생은 어떤 것과도 비교할 수 없는 큰 행복이니 만큼 준비 잘하시고 행복한 날들 되시길 바랄게요